개별화된 삶

이용자의 잠재능력과 욕구, 수준에 따라 개별 삶 지원계획을 수립하여 개별적이고 체계적인 삶을
지원함으로써 자기결정권을 인식하고 자립능력과 사회성 기능을 회복하여 지역사회의 일원으로
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.
삶 지원 | 참여자 | 시간 | 내용 |
---|---|---|---|
욕구 조사 | 전 이용자 | 연1회(10월) | 삶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삶 계획에 반영 |
만족도 조사 | 연1회(10월) | 지원된 삶에 대한 만족도조사 후 삶 계획에 반영 | |
개별욕구사정 및 진단 | 연중 | 성인-ABS~RC2, 학령기 K-ABS적응행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정 및 진단 | |
삶 지원계획 | 연중 | -이용자의 꿈 · 희망 등 욕구 상담 -체계적인 장 · 단기 삶 지원 계획 수립을 위한 회의 -회의 내용을 토대로 계획 수립 |
|
바우처 사업 | 전 이용자 | 연중 | 바우처 사업(문화,산림 등) 연계하여 여유 있는 여가생활 지원 |
학령기 | 연중 | 개개인 장애 특성에 맞는 언어, 미술, 음악, 행동, 심리, 모레치료 등 선택하여 장애아동발달서비스 지원 |